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 투자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하는 3가지 지표

by llIlIlIIlllIIIll 2022. 8. 31.

주식 투자 결정을 위해 기업 가치를 평가할 때 오로지 자신의 가치관과 판단만 믿고 투자 결정을 하면 안 됩니다. 반드시 알아야 하는 지표들을 중심으로 결괏값을 도출한 후 철저하게 비교하며 투자 결정을 해야 합니다. 그럼 주식 투자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하는 3가지 지표는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그래프 사진
주식 투자 지표

 

 

1. 회사 자본의 효율성을 나타내 주는 ROE 수치

ROE 지표는 회사가 가지고 있는 자본을 얼마만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ROE 단어의 뜻에서 알 수 있듯이 회사의 자본을 어떻게 사용해서 이익을 내고 있는지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식 투자를 할 때 기업의 자본 효율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말하는 좋은 회사란 ROE가 높은 회사입니다. 왜냐하면 ROE 수치가 높다는 것은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이익을 내고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주식 투자를 하기 위해 기업 분석을 할 때는 반드시 ROE 수치를 고려해야 합니다. ROE 수치가 낮은 회사는 자본과 순자산이 아무리 많이 있어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해 묶여 있거나 효율적인 수익을 내고 있지 않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유망성과 성장 가능성이 낮은 회사입니다. 그래서 자본의 효율성을 판단할 수 있는 ROE 수치를 잘 참고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2. 현재 주가와 순자산 간 배율을 알 수 있는 PBR 수치

PBR 지표는 자본의 가격 자체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즉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순자산과 현재 주가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수치로 현재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얼마만큼의 가치가 더해져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위 ROE 수치는 자본의 효율성을 보여주는 수치이지만 PBR은 현재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본의 가격을 나타내 주는 수치입니다. 그래서 투자를 하기 위해 가치 평가를 할 때 PBR이 높은 기업은 보유하고 있는 순자산보다 현재 주가가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투자 대상으로 좋지 못한 기업입니다. 그래서 적당한 PBR 수치는 현재 순자산의 1배 이하가 되면 적당한 수치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내가 투자하고 싶은 기업이 너무 높은 PBR 수치를 보유한 기업이라면 다른 여러 요소들과 잘 비교하여 판단하시기를 바랍니다.

 

3. 현재 주가 대비 수익 비율을 알 수 있는 PER 수치

마지막으로 참고해야 할 지표는 PER 지표입니다. PER 지표는 수익률이 얼마인지 따져볼 수 있는 중요한 수치이므로 반드시 잘 따져가며 투자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현재의 주가 대비 기업이 올리고 있는 이익에 대한 배율을 의미하는 PER 수치는 회사의 이익과 현재 주가 가격을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수치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ROE는 순자산 대비 이익의 비율이므로 ROE 수치를 활용하여 현재 주가와 비교하면 PER 수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즉 현재 주가가 이익의 몇 배인지를 표시하는 것이므로 현재 주가가 저평가되고 있는지 반대로 고평가 되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ROE 수치와 PBR 수치로 현재 주가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지만 PER 수치와 함께 비교하며 판단한다면 성공적인 투자 가능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3가지 지표는 주식 투자 결정을 할 때 반드시 참고해야 할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 3가지 지표의 관계를 잘 이해하고 있다면 다양한 관점으로 투자를 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3가지 지표를 각각 구분하여 판단하게 되면 수치가 가지는 연관성을 파악하지 못하게 되므로 3가지 지표의 연관성을 잘 생각해야 합니다. 만약 회사 자본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ROE 수치가 높다고 좋은 기업이라고 단정 지어서는 안 됩니다. 왜냐하면 ROE 수치가 높더라도 PBR 수치가 높다면 회사가 보유한 순자산 대비 높은 주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좋은 투자 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PER 수치가 높아 현재 기업이 내고 있는 이익에 비해 현재 주가가 높게 책정된 것 같아 보이지만 당기 이익만 낮고 회사가 보유한 재산이 많을 수도 있기 때문에 재산가치도 함께 따져보아야 합니다. 이런 노하우들은 주식 투자의 경험이 쌓이다 보면 자연스럽게 터득할게 될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 지표들의 의미를 잘 파악한 후 각 수치 간의 연관성을 생각하며 투자 여부를 결정하시기를 당부드립니다.

댓글0